본문 바로가기
└ 금융_정보

공무원연금 수령액 및 수령시기, 알기 쉽게 정리

by 쿠카리치 2021. 8. 9.

공무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이는 연금을 통한 노후 보장이 가능하다는 이유가 가장 큰데요. 지금부터 공무원연금 수령액 및 연금 수령시기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 

공무원연금 수령시기

공무원 연금은 기본적으로 최소 10년 이상 근무를 했을 때 자격조건이 성립됩니다. 기본적으로 만 60세 이상부터는 사망 시까지 연금을 매월 지급받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. 퇴직 연도에 따라 연금 수령시기가 달라지는 이는 하단 표에서 확인하세요.

공무원연금-수령시기
공무원연금 수령시기

 

공무원연금 수령액

공무원연금 수령액은 1구간, 2구간, 3구간으로 나누어져 계산되게 되어있습니다. 즉, 30년 재직연수를 모두 채운 공무원이라면 명확한 금액(하단 표기)이 나와 있으나, 그 전에 그만두었다면 개개인별 기간에 따라 계산을 해보아야 합니다.

 

- 1구간

2009년 12월31일 이전

2009년 말 기준 3년 평균보수월액 현가액 X 재직기간 X 법정 연금지급률

※ ‘2009년말 기준 3년 평균 보수월액 현가액’은 2009년까지 받은 평균 보수(기본급+정근수당)를 ‘기준소득월액 변동률’ 기준으로 환산한 것입니다.

※ ‘법정 연금지급률’은 재직기간 20년 이하는 재직기간 1년당 2.5% / 재직기간 20년 초과는재직기간 1년당 2%를 뜻합니다.

 

- 2구간

2010년 1월 1일 ~ 2015년 12월 31일

(평균 보수월액 X 이행률) X 재직기간 X 1.9%

※ ‘이행률’이란 재직기간별 기준 소득월액에 적용되는 비율을 뜻합니다.

 

- 3구간

2016년 1월 1일 이후

(개인 평균 기준 소득금액 X 이행률) X 재직기간 X 2016년 이후 연금 지급률

※ 연금지급률은 재직기간 1년당 1.7%이며, 2035년까지 단계적으로 인하될 예정입니다.

2015 - 1.9% / 2016 - 1.878% / 2017 - 1.856% / 2018 - 1.834% / 2019 - 1.812% / 2020 - 1.790% / 2021 - 1.780% / 2029 - 1.724% / 2030 - 1.720% / 2035 - 1.7%

 

- 30년 만기 채웠을 때

공무원연금-수령액
공무원연금 수령액

 

맺음말

지금까지 공무원연금 수령액 및 수령시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혹여 계산이 복잡하거나 헷갈릴 경우 공무원연금공단(링크)에서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

댓글